‘한국의 인어들’은 한국의 다양한 인어 설화 등을 담은 소설집이다.

표지

이 책은 기본적으로는 소설집이지만, 일종의 설화집으로도 볼 수 있다. 순수 창작이 아니라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나 기록 등에서 유래된 이야기를 담았기 때문이다. 덕분에 인어공주 등으로 유명해진 외국의 것이 현대 한국에 정착한 모습이 아닌 한국에서 만들어진 인어 이야기를 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한국의 인어들은 전형적인 서양 신화 속 인어와는 조금 다르다. 일종의 몬스터 즉 악하거나 해를 끼치는 존재로 그려지지 않는다는 게 대표적이다.

서양에서 가장 유명한 인어 설화는 뱃사람을 꼬드겨 바닷속으로 끌고 들어가는 것으로, 이는 바다에 대한 두려움과 경계심이 담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반해 한국의 인어들은 오히려 인간에게 해를 당하는 경우가 많고 그래서 인간을 경계하기도 하지만 얼마든지 인간과 정을 나눌 수 있는 따뜻한 존재로 그려진다. 무해하고 선량하며 복을 가져온다는 큰 틀은 우리 선조들이 바다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었는지를 조금 짐작케 한다.

책 속 인어들은 어디에선 무력하게 포획당해 기름이 짜내지고 고기를 먹히는 물고기와 같은 입장인가 하면 용왕의 딸 즉 공주라는 꽤나 높은 지위로 얘기되기도 하고, 은원은 있을지언정 인간과는 거리가 있는 것처럼 그려지는가 하면 반대로 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모습도 여럿 나온다. 지역에따라 인간과의 사이에서 벌어지는 일들만 다른 것이 아니라 인어라고 하는 존재 자체가 조금씩 다른 것처럼 그려졌기에 책 속 인어들은 하나 하나가 흥미롭다.

여러 이야기들이 있는만큼 외국과 유사한 것들도 있는데, 인어공주처럼 인간이 되고 싶어하는 이야기라던가 인어 고기를 먹으면 불로불사가 된다는 설정을 가진 낭간 설화 같은 게 그렇다. 이런 걸 보면 또 인간의 상상력이란 결국 거기서 거기 아닌가 싶기도 하다.

저자가 당초 모았던 설화는 모두 이야기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건 아니었기에 그것들은 살을 붙여 새롭게 이야기를 만들어내기도 했다는데, 해당 설화를 알고 있던게 아니라면 알아채지 못할만큼 자연스럽다. 현대적인 삽화도, 비록 글의 묘사를 충실히 재현한 것은 아니다만, 동화적이고 따뜻한 이야기와 잘 어울린다.

이 리뷰는 북카페 책과 콩나무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