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혀 특별하지 않으면서도 특별한 책이다.
전혀 특별하지 않은 이유는, 책을 위해 쓰고 만든 내용을 담은게 아니라 ‘빨간책방‘이라는 라디오를 통해 진행했던 대화를 추려서 담은것이기 때문이다. 라디오라지만 인터넷을 통해 배포하므로, 그 대화들은 지금도 얼마든지 받아서 들을 수 있다. 때문에 전혀 특별하지 않다. 오히려 라디오를 들었던 사람에게는 ‘그냥 녹취록 아닌가’하고 생각할 법도 하다.
특별한것은 그 형식이나 어떻게 만들어졌느냐가 아니라, 내용에 있다. 이동진이라는 평론가와 김중혁이라는 소설가가 갖고있는 엄청난 지식을 기반으로 뿜어내는 소설에 대한 내용은 충분히 그 이해를 더 깊게 해줄만하다. 이는 라디오 ‘빨간책방’이 갖고있던 장점이다.
일종의 녹취록인만큼 ‘빨간책방’의 단점도 고스란히 갖고있는데, 그건 더 깊은 얘기를 하기 위해서 소설 내용을 모두 까발린다는거다. 소설의 주요 사건이나 오해, 반전같은 것들도 거침없이 얘기하는데, ‘영화 소개 프로그램’ 등을 통해 많이 당해온 사람들에게 이건 정말 분노할만한 점일거다. 이건 애초에 이 둘의 대화가 ‘책 소개’가 아니라 ‘책 뒷얘기’ 같은 것이라서 그렇다. 즉, 좋은 책을 소개한다는 점과는 애초부터 모순되어 있었다는 말이다. 이걸 모르고 라디오를 듣거나 이 책을 읽는다면 크게 낭패를 볼 것이다. 읽은 책에 대해서 얘기 나누는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하지 않아 생기는 ‘모순된 컨셉’이 (나중에 편집해 만들어낸) 책에서도 여전한것은 더욱 아쉬울 수 밖에 없었다.
라디오와는 다른 책만의 장점이라면, 내가 내게 맞는 속도와 흐름으로 읽어나갈 수 있다는거다. 이건 방송이나 미디어로는 가질 수 없는 책만의 장점인데, 개인적으로는 그게 라디오보다 좋았다. 다만, 녹취록이라서 읽는 속도도 (소설에 비해) 빨라 반대로 양에 비해 읽을 것이 적다는 것은 역시 좀 아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