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카야마 시치리(中山 七里)’의 ‘네메시스의 사자(ネメシスの使者)’는 현대 형벌제도의 뜨거운 감자 중 하나인 사형제도를 소재로 한 소설이다.

표지

인권은 중요한 문제다. 하지만, 제대로 보장되기는 어렵다. 남의 인권을 무시하는 것이 손쉽게 자신의 이득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를 개선하기위해 근현대에 이르러 많은 논의와 노력이 있었고, 그래서 지금은 심지어 범죄자라도 기본적인 인권만은 지켜주어야 한다는 얘기까지 나온 상태다.

그래서 수사나 재판 때도 이를 침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교도소에서 생활을 개선하고, 사형의 폐지를 주장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그런데, 이 쯤에서 조금 의아함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말이 좋아 인권이지, 그저 돈있고 힘있는 가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작으로밖에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범죄자의 인권이라니,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 심지어 애초에 그들이 무시했던 인권은? 그들의 인권과는 다르게 피해자들이 받아야 할 2차, 3차 피해에 대해서는 왜 얘기하지 않는가. 그렇게 무시당한, 보상받지도 못할 인권에 대한 대가는 과연 누가 치르는가. 범죄를 저지르면 그에 맞는 대가를 치르게 한다는 당초 형벌의 의의도 퇴색되는 건 아닐까.

피해자와 그 가족들에게 여전히 웃으며 살아가는 가해자는 그 존재 자체만으로도 추가적인 고통일 수 있다. 그렇기에 ‘그럼 내가 벌주겠다’고 하는 자가 나오는 것도 충분히 생각해볼 법하다. 복수, 또는 정의 집행이라는 이름으로 말이다.

소설은 그걸 매력적인 등장인물로 흥미롭게 잘 그려냈다. ‘네메시스’를 단순한 ‘복수(復讐)’가 아닌 ‘의분(義憤)’으로도 볼 수 있다고 하면서 사건을 더 큰 주제로 이끈 것도 꽤 괜찮았다. 그게 이야기를 더 복잡하게 만드는 한편, 일본의 사법 체계를 흔들어 사형제도, 더 크게는 형벌제도에 대해서도 고민해보게 만든다.

딱히 사전지식이 없어도 무난하게 읽을 수 있게 법적인 내용이나 사형제도 존폐에 대한 의견 등을 실은 것도 나쁘진 않았는데, 아무래도 이 부분은 좀 딱딱해지는 느낌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쓰지 않는 단어가 많아서 더 그랬다. 일단 ‘원죄’라는 것 자체가 그렇지 않은가. (‘누명’을 더 많이 쓰며, 원죄는 대게 종교적으로 ‘최초의 죄’를 일컫는데 쓴다.) ‘사분’이나 ‘의분’ 같은 것도 그렇다. 이것들은 비록 사전에도 나오고, 딱히 다른 적당한 단어가 있을 것 같지도 않지만, 바로 잘 와닿지 않게 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