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치다 에이지(内田 英治)’의 ‘미드나잇 스완(ミッドナイトスワン; Midnight Swan)’은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표지

결말을 포함한 주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주의 바란다.

소설은 주요 인물들이 성소수자라는 점을 통해 자연스레 그들이 처한 현실과 사회의 인식과 같은 문제들을 얘기하기도 하고, 외면받고 인정받지 못할 뿐 아니라 부정당함으로써 겪게되는 심적인 문제라든가 가족간의 틀어진 관계 등을 보여주기도 하면서 여러 등장인물들이 엮여 만들어지는 비극적인 드라마를 꽤 잘 보여준다.

그 중심에 있는 인물은 역시 주인공인 ‘나기사’다. 그의 고난한 삶은 일본 성소수자의 현실을 꽤나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일본은 성진국이라는 별명처럼 성적인 것도 꽤 잘 양지화되어있고, 소위 뉴하프 등을 공공연히 얘기하기도 하는 등 성정체성 문제에도 포용적인 밝고 긍정적인 이미지가 있었는데, 그것들은 그저 잘 만들어진 상업적 판타지에 불과했다는 것 같아 새삼 씁쓸해지게 만들기도 한다.

뉴하프는 주변의 따가운 시선과 놀림을 받는다는 식의 단편적인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니라 종합적으로 힘들고 어려울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잘 담아내서 인물의 서사와 감정에도 쉽게 이입할 수 있다.

등장인물도 각자가 가진 결핍을 다른 사람들을 통해 채워질 수 있게 괜찮게 구성한 편이다.

인정하려 하지는 않지만 진심으로 엄마가 되고 싶어하는 ‘나기사’, 엄마의 애정과 발레를 필요로 하는 ‘이치카’, 인형처럼 춤을 강요받았지만 그럼에도 가고싶어했던 꿈에 결국은 도달할 수 없음을 깨닫게 되는 ‘린’ 등 각각은 도저히 어쩌지 못할 결핍같은 걸 가지고 있고 서로의 존재가 각자의 결핍을 더욱 실감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잘만 맞물린다면 충분히 서로가 그 결핍을 채워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러 상황이 계속해서 어긋나고 각자의 결핍이 그것을 부정적으로 더욱 부추김으로써 모두가 비극적인 끝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 차마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다만, 그렇게 되는 후반부의 서사가 썩 좋지만은 않은 편이다. 충분히 그럴만한 요소 즉 씨를 갖고 있었다고는 하나, 단지 단계를 밟아나가듯 건조하게 하나씩 꺼내놓기만 할 뿐이라 왜 하필 그때 그렇게까지 해야만(되어야만) 했는지 좀 설득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개중에는 대충 넘기거나 급작스런 변화를 보이는 것도 있어 더 그렇다.

비극성을 강화하기 위해 좀 무리하게 밀어부친 것은 아닐까. 영화의 시나리오이기도 하다는 걸 생각하면, 이미 결정된 영상 씬을 위해 앞뒤를 좀 끼워맞춘 것 같기도 하다. 그래서 엔딩에 썩 납득이 잘 안된다. 소위 ‘일본적 감수성‘이란 게 없어서 그런걸까.

과연 연기와 영상미가 곁들여진 영화는 또 어떻게 다를지 궁금하다.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